본문 바로가기
그사이어딘가/Information, News

그린뉴딜 관련주 급등! 풍력에너지, 전기차,수소차, 온실가스,탄소배출 왜?

by 개미짱이 2020. 5. 21.

현 대통령인 문제인 대통령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판 뉴딜, 그린뉴딜을 신속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뉴딜 정책이란 간단하게 보자면

미국 제32대 대통령 F.D.루스벨트의 지도 아래 대공황() 극복을 위하여 추진하였던 제반 정책이다.


뉴딜에 시작과 뉴딜 정책에대하 알아보자!

1.1929년 10월 24일에 뉴욕 주식시장의 주가 대폭락을 계기로 시작된 경제불황은 미국 전역에 파급되고, 그것이 연쇄적으로 세계적인 대공황으로 확대되었다. 당시의 대통령 H.후버(재임 1929∼1933)의 필사적인 방지대책에도 불구하고 물가는 계속 폭락, 1932년까지 국민총생산(GNP)을 1929년 수준의 56%로 떨어뜨리고, 파산자가 속출하였다. 이에 따라 실업자가 날로 늘어나 1,300만 명에 이르렀다.


2.1932년의 대통령선거는 이와 같은 심각한 불황 속에서 시행되었는데, 민주당에서는 당시의 뉴욕 주지사로서 불황 극복에 착실한 업적을 올리고 있던 루스벨트를 대통령 후보로 지명하였다. 루스벨트는 경제사회의 재건, 빈궁과 불안에 떠는 국민의 구제 등을 목적으로 한 새로운 정책, 즉 ‘잊혀진 사람들을 위한 뉴딜(신정책)’을 약속함으로써 공화당의 후보를 누르고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당선 후 1933년 3월 루스벨트는 특별의회를 소집하여 6월 16일까지의 100일 동안, ‘백일의회()’라고 불리는 특별회기내에 적극적인 불황대책을 정부 제안의 중요 법안으로서 입법화하였다.

3.뉴딜 제법안의 작성에 대통령 측근의 경제·법률 분야에서 진보적인 학자와 전문가 그룹, 즉 브레인 트러스트(brain trust)가 기용된 사실은 유명하다. 이렇게 하여 1933년에 입법화된 주요 정책은 다음과 같다.

 ① 긴급은행법()을 제정하여 재기 가능한 은행에는 대폭적인 대부()를 해줌으로써 금융공황으로부터 은행을 구출하여 은행업무의 정상화를 도모하였다.

 ② 금본위제()를 폐지하고 관리통화법()을 도입하여 통화에 대한 정부의 규제력을 강화하였다.

 ③ 농업조정법(調)을 제정하여 농업의 구제를 도모하였다. 이것은 주요 농산물의 생산제한으로 과잉생산을 없애고 농산물가격의 하락을 방지하여 균형가격()을 회복하려는 의도에서였다. 또, 농민에게 자금원조를 해줌으로써 농업구제에 대한 시도를 하였다. 

④ 전국 산업부흥법()을 제정하였다. 이것은 각 산업부문마다 공정경쟁규약()을 작성하게 하여 지나친 경쟁을 억제시켰으며, 생산제한·가격협정을 인정하고 적정한 이윤을 확보시키는 한편 노동자 단결권 ·단체교섭권을 인정하는 동시에 최저임금과 최고노동시간의 규정을 약속하여 노동자에 대한 안정된 고용과 임금을 확보하게 하려는 데에 그 뜻이 있었다. 

 테네시강() 유역 개발공사()를 설립하였다. 이것은 이 지역의 발전()과 치수관개용()의 다목적댐을 건설하여 종합적인 지역개발을 실행하려는 것으로서, 정부에 의한 전력()생산사업이라는 점에서도 획기적인 정책이었다.

⑥ 자원보존봉사단()·연방임시구제국()을 설립하였다. 이것은 정부자금에 의한 실업자와 궁핍자()의 구제책으로서 설립한 것으로, 지방자치단체의 구제활동을 연방정부가 원조하려는 시도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미국에 사례를 가져와 한국에서도 저성장 덫에서 벗어나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한국형 뉴딜 핵심 축은 그린뉴딜 이다. 그린뉴딜은 화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신 재생 에너지로 전환하는 등 저탄소 경제구조를 추진하면서 새로운 투자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정책을 말한다.


그린 뉴딜투자 지원 계획으로는 발전·산업·건물·수송·지역거점·기타 등 6개 분야 23개 사업으로 구성됐었고, 우선 3차 추경에는 태양광(1500억원)·풍력(1조원) 설비 확대를 비롯해 재생에너지 전력망 인프라 건설(1조원), 사업장 에너지 진단 및 자금 지원(1조1200억원), 그린스쿨 프로젝트(5000억원), 저소득층 주택 효율화(4000억원), 미래차 시장 육성(1000억원), 전기이륜차 전환(1000억원) 등의 예산을 포함할 계획이다. 이어 내년에 18조4800억원을 비롯해 중장기적으로 총 355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민주당은 그린 뉴딜로 중장기 365만개 일자리 창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래서 기존 코로나19로 주목 받지 못했던 산업들의 주식들이 들썩이고 있다.

풍력에너지 관련주로는 동국S&C, 유니슨, 동국산업, 씨에스베어링, 씨에스윈드 등이 있고
전기,수소차 관련주로는 풍국주정, 한온시스템, 대우부품, 성창오토텍, 삼화전기, LG화학, 삼성SDI
온실가스 관련주로는 세종공업, 에코바이오, KC코트렐, 에코프로, 한솔홈데코, 이건산업등 이 있습니다.

모두 성투 하세요^^




댓글